지난 10년 동안 연평균 3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한 미국 주식 10개를 찾아 봤습니다. 📈 NVIDIA, Tesla, AMD, Broadcom 등 꾸준한 우상향을 보이며 장기 투자자들에게 높은 수익률을 안겨준 기업들을 지금 확인해 보세요! 🔥 앞으로 장기 보유할 주식을 찾는 다면 아래 주식을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투자는 개인의 몫이며 모든 손실은 개인에게 있습니다.
NVIDIA (NVDA) – 반도체, AI 및 GPU (CAGR: 76.46%)
AMD (AMD) – 반도체, CPU 및 GPU (CAGR: 48.57%)
Monolithic Power Systems (MPWR) – 전력 관리 반도체 (CAGR: 38.70%)
Tesla (TSLA) – 전기차 및 에너지 (CAGR: 35.28%)
Broadcom (AVGO) – 반도체 및 소프트웨어 (CAGR: 33.71%)
Fortinet (FTNT) – 사이버 보안 (CAGR: 32.80%)
Netflix (NFLX) – 온라인 스트리밍 (CAGR: 32.71%)
ServiceNow (NOW) – 클라우드 기반 워크플로우 (CAGR: 32.45%)
Cadence Design Systems (CDNS) – 반도체 설계 자동화 (CAGR: 32.34%)
Eli Lilly (LLY) – 제약 및 바이오테크 (CAGR: 30.68%)
CAGR (Compound Annual Growth Rate, 연평균 성장률) 은 일정 기간 동안의 연평균 성장률을 의미합니다. 주식, 기업 수익, 투자 수익률 등을 분석할 때 자주 사용됩니다.
CAGR 계산 공식
CAGR=(VfVi)1n−1CAGR = \left( \frac{{V_f}}{{V_i}} \right)^{\frac{1}{n}} – 1
- VfV_f : 최종 값 (Ending Value)
- ViV_i : 초기 값 (Beginning Value)
- nn : 투자 기간(년)
CAGR 예제
예를 들어, 2013년에 100원이었던 주식이 2023년에 259원이 되었다면:
CAGR=(259100)110−1=10%CAGR = \left( \frac{259}{100} \right)^{\frac{1}{10}} – 1 = 10\%
즉, 이 주식은 연평균 10% 성장했다는 의미입니다.
CAGR의 장점과 단점
✅ 장점
- 단순한 평균보다 연속적인 성장률을 더 정확히 반영
- 투자 수익률 비교에 유용
❌ 단점
- 변동성을 반영하지 않음 (ex. 중간에 큰 하락이 있어도 CAGR은 평균값만 보여줌)
CAGR은 주식, 부동산, 펀드, 기업 성장성 평가 등 다양한 재무 분석에서 활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