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투자를 할 때 어떤 종목을 선택해야 할지 막막한가요? 스톡 스크리너(Stock Screener)를 활용하면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종목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위치 : 트레이딩뷰 > 스톡스크리너 > 가격 > 메뉴얼 셋업 >
가격이 없다면, + 버튼을 누르고 추가할 수 있어요.
1. 거래량 가중 이동 평균 (VWMA, Volume Weighted Moving Average)
VWMA는 일반적인 이동 평균(SMA)과 다르게 가격뿐만 아니라 거래량까지 고려하여 계산하는 지표입니다. 즉, 거래량이 많은 가격 움직임에 더 큰 가중치를 부여하여 시장의 실질적인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사용 예시: 만약 특정 종목이 급등했는데 VWMA도 함께 상승한다면, 이는 실제 투자자들이 많이 매수한 신호이므로 강한 상승 가능성이 큽니다.
- 실전 활용: 단기 트레이딩에서 급등주를 포착할 때 유용하며, 장기 투자에서도 강한 상승 흐름을 확인하는 데 활용됩니다.
2. 돈치안 채널 (Donchian Channels)
돈치안 채널은 최근 N일 동안의 최고가와 최저가를 기반으로 형성되는 채널입니다. 트레이더들은 이를 활용하여 돌파 매매 전략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 사용 예시: 예를 들어, 20일 돈치안 채널의 상단을 돌파하면 강한 매수 신호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실전 활용: 추세 매매 전략을 사용하는 트레이더에게 적합하며, 가격이 채널의 하단을 돌파하면 손절매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볼린저 밴드 (Bollinger Bands)
볼린저 밴드는 이동 평균을 중심으로 표준 편차를 반영한 상·하단 밴드를 설정하여 가격 변동성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 사용 예시: 주가가 상단 밴드를 돌파하면 과매수, 하단 밴드를 돌파하면 과매도 상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실전 활용: 변동성이 적은 구간(밴드 수축)에서 주가가 급등하면 강한 상승이 나올 가능성이 큽니다. 스캘핑 및 단기 매매에 적합합니다.
4. 심플 무빙 애버리지 (SMA, Simple Moving Average)
SMA는 일정 기간 동안의 종가를 단순 평균하여 추세를 분석하는 가장 기본적인 이동 평균 지표입니다.
- 사용 예시: 50일 이동 평균선이 200일 이동 평균선을 돌파하면 **골든 크로스(Golden Cross)**라고 하며 상승 신호로 해석됩니다.
- 실전 활용: 장기 투자자들은 200일 SMA 위에서 거래되는 주식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5. 익스포넨셜 무빙 애버리지 (EMA, Exponential Moving Average)
EMA는 SMA보다 최근 가격에 더 높은 가중치를 두어 최신 가격 변화를 빠르게 반영하는 지표입니다.
- 사용 예시: 단기 매매를 할 때 빠르게 시장 변화를 감지하는 데 유용합니다.
- 실전 활용: 9일과 21일 EMA를 함께 사용하면 강한 트렌드를 분석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6. 일목 구름 (Ichimoku Cloud)
일목 구름은 여러 이동 평균선을 조합하여 추세 방향, 지지선, 저항선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 사용 예시: 가격이 구름 위에 있으면 상승 추세, 구름 아래에 있으면 하락 추세로 볼 수 있습니다.
- 실전 활용: 장기 투자자들이 주로 활용하며, 구름대가 두꺼울수록 강한 지지와 저항 역할을 합니다.
7. 켈트너 채널 (Keltner Channels)
켈트너 채널은 변동성을 활용하여 추세와 지지·저항을 분석하는 지표입니다. EMA와 ATR(평균 진폭 범위)을 기반으로 형성됩니다.
- 사용 예시: 주가가 상단 밴드를 돌파하면 상승세, 하단 밴드를 돌파하면 하락세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실전 활용: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사용하면 가격의 강한 돌파 구간을 포착하는 데 유용합니다.
8. 파라볼릭 SAR (Parabolic SAR)
파라볼릭 SAR은 주가의 추세 전환을 예측하는 지표입니다. 점(dot)으로 표시되며, 가격 위에 점이 있으면 매도 신호, 아래에 점이 있으면 매수 신호입니다.
- 사용 예시: 상승장에서 점이 계속해서 아래에 위치하면 강한 상승 추세를 의미합니다.
- 실전 활용: 단기 트레이딩에서 빠르게 매매 타이밍을 잡는 데 유용합니다.
9. 헐 무빙 애버리지 (HMA, Hull Moving Average)
HMA는 일반적인 이동 평균보다 노이즈를 줄이고 가격 변화를 부드럽게 반영하는 지표입니다.
- 사용 예시: 급격한 가격 변동이 있는 종목에서 매수·매도 타이밍을 좀 더 정교하게 잡는 데 사용됩니다.
- 실전 활용: 변동성이 심한 종목을 트레이딩할 때 활용하면 추세를 더욱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10. 피벗 포인트 (Pivot Points)
피벗 포인트는 특정 주식의 지지선과 저항선을 계산하여 미래 가격 움직임을 예측하는 데 도움을 주는 지표입니다.
10.1 디마크 피벗 포인트 (Demark Pivot Points)
톰 디마크가 개발한 이 지표는 이전 캔들의 고가, 저가, 종가를 이용하여 지지와 저항선을 설정합니다.
- 사용 예시: 장 마감 후 가격이 높은 방향으로 갔다면 다음 날 상승세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 실전 활용: 변동성이 높은 시장에서 가격 반전을 포착하는 데 유용합니다.
10.2 피벗 포인트 우디 (Woodie Pivot Points)
우디 피벗 포인트는 종가보다는 고가와 저가에 더 큰 비중을 두어 계산하는 방식입니다.
- 사용 예시: 단기 트레이딩을 할 때, 기존 피벗보다 더 빠르게 변화를 반영합니다.
- 실전 활용: 데이 트레이더들이 자주 활용하며, 빠르게 변하는 시장에서 유용합니다.
10.3 피벗 포인트 카마릴라 (Camarilla Pivot Points)
카마릴라 피벗 포인트는 8개의 가격 레벨(4개의 지지선과 4개의 저항선)을 설정하여 매우 정밀한 트레이딩 전략을 지원합니다.
- 사용 예시: 가격이 S3 이하로 내려갔다가 다시 올라올 경우 강한 매수 신호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 실전 활용: 단타 트레이더가 지지와 저항을 상세히 분석하는 데 활용됩니다.
10.4 피벗 포인트 클래식 (Classic Pivot Points)
가장 전통적인 방식으로 고가, 저가, 종가의 평균값을 사용하여 계산됩니다.
- 사용 예시: 피벗 포인트를 기준으로 위에서 거래되면 상승장, 아래에서 거래되면 하락장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 실전 활용: 장기 트레이딩에서도 안정적인 지지선과 저항선을 확인하는 데 유용합니다.
10.5 피벗 포인트 피보나치 (Fibonacci Pivot Points)
피보나치 수열을 활용하여 가격 지지선과 저항선을 설정하는 방식입니다.
- 사용 예시: 주가가 피보나치 레벨을 돌파하면 강한 매수 또는 매도 신호로 작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 실전 활용: 기술적 분석을 기반으로 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11. 목표가 (Target Price)
목표가는 투자자가 특정 종목을 매수한 후 예상하는 이익 실현 가격을 의미합니다. 목표가를 설정하면 투자 전략을 명확히 할 수 있으며, 손익 관리가 용이해집니다.
- 사용 예시: 애널리스트 보고서에서 특정 종목의 목표가를 150달러로 제시했다면, 현재 가격이 120달러일 경우 25% 상승 여력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실전 활용: 목표가를 미리 설정하면 감정적인 매매를 줄이고, 수익 실현과 손실 제한을 계획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12. 포스트 마켓 데이터 (Post-Market Data)
포스트 마켓 데이터는 정규 거래 시간이 끝난 후 주식 가격 변화를 분석하는 데 사용됩니다.
12.1 포스트_마켓 로우 (Post-Market Low)
- 사용 예시: 장 마감 후 특정 종목의 가격이 크게 하락했다면, 다음 날 시장이 하락세로 시작할 가능성이 큽니다.
- 실전 활용: 다음 거래일의 흐름을 예측하는 데 유용합니다.
12.2 포스트_마켓 오픈 (Post-Market Open)
- 사용 예시: 장 마감 이후 발표된 기업 실적이 좋으면, 포스트 마켓에서 가격이 급등할 수 있습니다.
- 실전 활용: 실적 발표 후 시장 반응을 확인하는 데 활용됩니다.
12.3 포스트_마켓 클로즈 (Post-Market Close)
- 사용 예시: 포스트 마켓 거래가 마감될 때까지 강한 매수세가 유지된다면, 다음 날 강한 상승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 실전 활용: 큰 기관 투자자의 매매 동향을 파악하는 데 사용됩니다.
12.4 포스트_마켓 하이 (Post-Market High)
- 사용 예시: 포스트 마켓에서 최고가를 기록한 종목은 다음 날 개장 후에도 상승 흐름을 보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실전 활용: 장 마감 후 호재 뉴스로 인해 상승한 종목을 미리 분석하는 데 활용됩니다.